"왜 예금만" 불만에…은행 대출금리 더 떨어진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39회 작성일 23-01-16 11:24본문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렸지만 이번 주 은행권 대출금리는 반대로 더 떨어질 전망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는 연 4.780∼7.410% 수준이다. 이번 주에는 여기에서 0.1%포인트 이상 떨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변동금리는 주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르는데, 다음주 초 발표될 예정인 작년 12월 기준 코픽스가 지난달 예금 금리 하락을 반영해 낮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시장금리 상승으로 지난해 11월 5%를 넘어섰던 예금 금리는 최근 4%대로 내려왔고, 일부 은행 상품의 경우 3%대 후반까지 하락한 상태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 13일 4.630∼6.960%)와 신용대출 금리(은행채 1년물 기준. 13일 5.492∼6.660%)도 0.3%포인트 안팎 인하될 전망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는 연 4.780∼7.410% 수준이다. 이번 주에는 여기에서 0.1%포인트 이상 떨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변동금리는 주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르는데, 다음주 초 발표될 예정인 작년 12월 기준 코픽스가 지난달 예금 금리 하락을 반영해 낮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시장금리 상승으로 지난해 11월 5%를 넘어섰던 예금 금리는 최근 4%대로 내려왔고, 일부 은행 상품의 경우 3%대 후반까지 하락한 상태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 13일 4.630∼6.960%)와 신용대출 금리(은행채 1년물 기준. 13일 5.492∼6.660%)도 0.3%포인트 안팎 인하될 전망이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주담대 혼합형과 신용대출의 지표 금리인 은행채 5년물과 1년물의 금리가 최근 1주일새 각 0.394%포인트(6일 4.527%→13일 3.918%), 0.186%포인트(4.104%→3.918%) 내렸기 때문이다.
잇단 자진 금리 인하의 공식 명분은 취약계층 이자 부담 완화지만, "예대 금리 차이가 크다"는 여론·금융당국·정치권의 지적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 금리 하락에 이런 눈치 보기가 겹쳐 최근 불과 1주일(6∼13일) 사이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단은 0.7%포인트(8.110→7.410%)나 급락했다.
1주일새 은행채 1년물 금리가 0.4%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면 예금 금리도 비슷한 폭으로 낮춰야 하지만, 오히려 현재 상당수 은행은 조만간 예금 금리를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장 금리를 거슬러 예금 금리 인상을 논의하는 자체도 "대출 금리만 오르고 예금 금리는 떨어진다"는 외부 비난과 무관하지 않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7월부터 월별 예대금리차 공시까지 도입하면서 은행의 예금금리 인상을 독려해왔다. 여기에 11월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자금 경색 사태가 심각해지자 회사채 발행 위축을 우려한 당국은 은행채 발행을 사실상 막았고, 은행은 유일한 자금 조달원으로서 예금의 금리를 더 높일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은행권의 정기예금 금리가 5%를 넘어섰고, 상승분이 그대로 코픽스에 반영되면서 12월부터 적용된 코픽스(4.34%)는 한 달 새 0.36%포인트나 뛰어 사상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코픽스 구성 요소 가운데 코픽스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비중을 따지면 예·적금이 70∼80%에 이른다.
그러자 당국은 "금융권의 과도한 자금확보 경쟁은 금융시장 안정에 교란 요인"이라며 예금 금리 인상을 자제하라고 당부하고 나섰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은행 예금·대출 금리가 자연스럽게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도록 놔뒀더라면 오히려 예대금리차가 지금보다 줄었을 수도 있다"며 "자금경색 사태와 당국 개입으로 금리 체계가 꼬인 느낌"이라고 말했다.
최근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를 웃도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례적 현상이다. 일반적으로는 미래 불확실성 탓에 채권 장기물 금리가 단기물보다 높아 고정금리가 우위지만, 자금경색으로 작년 말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데다 예금 금리 급등의 여파로 변동금리의 기준인 코픽스가 치솟은 결과다.
잇단 자진 금리 인하의 공식 명분은 취약계층 이자 부담 완화지만, "예대 금리 차이가 크다"는 여론·금융당국·정치권의 지적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 금리 하락에 이런 눈치 보기가 겹쳐 최근 불과 1주일(6∼13일) 사이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단은 0.7%포인트(8.110→7.410%)나 급락했다.
1주일새 은행채 1년물 금리가 0.4%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면 예금 금리도 비슷한 폭으로 낮춰야 하지만, 오히려 현재 상당수 은행은 조만간 예금 금리를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장 금리를 거슬러 예금 금리 인상을 논의하는 자체도 "대출 금리만 오르고 예금 금리는 떨어진다"는 외부 비난과 무관하지 않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7월부터 월별 예대금리차 공시까지 도입하면서 은행의 예금금리 인상을 독려해왔다. 여기에 11월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자금 경색 사태가 심각해지자 회사채 발행 위축을 우려한 당국은 은행채 발행을 사실상 막았고, 은행은 유일한 자금 조달원으로서 예금의 금리를 더 높일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은행권의 정기예금 금리가 5%를 넘어섰고, 상승분이 그대로 코픽스에 반영되면서 12월부터 적용된 코픽스(4.34%)는 한 달 새 0.36%포인트나 뛰어 사상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코픽스 구성 요소 가운데 코픽스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비중을 따지면 예·적금이 70∼80%에 이른다.
그러자 당국은 "금융권의 과도한 자금확보 경쟁은 금융시장 안정에 교란 요인"이라며 예금 금리 인상을 자제하라고 당부하고 나섰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은행 예금·대출 금리가 자연스럽게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도록 놔뒀더라면 오히려 예대금리차가 지금보다 줄었을 수도 있다"며 "자금경색 사태와 당국 개입으로 금리 체계가 꼬인 느낌"이라고 말했다.
최근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를 웃도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례적 현상이다. 일반적으로는 미래 불확실성 탓에 채권 장기물 금리가 단기물보다 높아 고정금리가 우위지만, 자금경색으로 작년 말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데다 예금 금리 급등의 여파로 변동금리의 기준인 코픽스가 치솟은 결과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