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4년간 11만건, 피해액 1조7000억원…대출사기형·50대 피해 많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839회 작성일 20-10-27 09:22본문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피해가 갈수록 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대표적인 비대면 범죄인 보이스피싱 사건은 앞으로 더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는 총 11만7075건에 달한다. 올해 1~8월에만 2만1014건이 발생해 4529억원의 피해를 냈다.
최근 4년간 발생한 보이스피싱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대출사기형'이 9만2943건(79.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대출사기형 보이스피싱은 저금리 대출 전환 등을 빙자해 수수료나 선이자를 가로챈 뒤 실제 대출은 이뤄지지 않는 방식의 사기다. 검찰·국세청·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는 '기관사칭형'도 2만4132건(20.6%)이 집계됐다. 피해액은 대출사기형이 1조1043억원, 기관사칭형 6396억원으로 추정된다.
피해 연령은 50대가 3만2823명(28.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27.2%, 30대 17.4% 등 순이었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보통 계좌이체(75.5%)를 통해 이뤄졌으나, 직접 만나 돈을 전달하는 대면편취형도 15.0%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5812건·1475억원의 피해가 발생해 규모가 가장 컸고, 경기(5205건)·인천(1425건)·부산(1273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전화로 이뤄지는 보이스피싱뿐 아니라 스미싱·파밍 등 모바일·인터넷 등 여러 수단이 결합돼 범죄에 악용되고 있다.
박 의원은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와 규모가 늘고 있는 추세"라며 "코로나19로 경기가 어려워 대출사기 형태의 보이스피싱 피해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능화되는 보이스피싱 예방과 검거를 위해 경찰과 금융당국을 비롯한 유관기관들이 신종수법에 대한 사례공유 및 연구를 통해 대책을 만들어 예방할 수 있는 정보공유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